분류 전체보기 38

[TIL] 데브코스 2차 프로젝트 회고

📜데브코스 2차 프로젝트 회고 저는 지금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를 수강 중입니다. 이번에 2차 프로젝트를 하게되어 이번 팀에서는 제주도에 관련된 여행일정을 짜주는 페이지를 만들어 보게 되었습니다.  이에 관해 회고를 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에 있어서 저희 팀의 분업화는 확실하게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각자 맡은 부분에 있어서 책임감을 가지고 임했다고 생각이 듭니다. 특히 좋은 팀원을 만난 행운이 있어서 저희 부족한 점에 대해 알아가는 점이 많았던 부분이 좋았습니다. 다만 서로 간의 커뮤니케이션 부분이 부족해서 각자 코드에 대해서는 알아도 서로 연결되어가는 코드에 있어서는 조금 이해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컴포넌트 부분의 이해도 부족해서 어느 정도까지 컴포넌트로 해야하는지에 대해 합의가 ..

Today I Learn 2025.02.10

[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3일차 TIL + 오늘의 학습 키워드

⭐ 뜨거운 붕어빵🔎 문제 설명 고려대학교에 입학한 새내기 호돌이는 안암역을 지나다가 한 붕어빵 장수를 만났어요.“안녕, 안녕, 안녕하십니까, 아저씨! 붕어빵 두 개 주세요.”“안녕을 세 번 외쳤으니 붕어빵 세 개!”붕어빵 두 개의 값을 내고 세 개를 받은 호돌이는 기분이 좋았어요. 호돌이가 붕어빵 하나를 꺼내어 한 입 물었는데…. 너무 뜨거워서 그만 붕어빵을 떨어뜨리고 말았어요ㅠㅠ붕어빵은 자유 낙하운동을 하면서 땅에 떨어졌는데 신기하게도 좌우가 뒤집힌 모양으로 착지했답니다. 호돌이가 붕어빵을 한 입 물기 전의 모양이 입력으로 주어지면, 땅에 떨어졌을 때에는 어떤 모양일지 출력하세요. 🔎 제한사항첫째 줄에는 두 개의 정수 N과 M(0≤N,M≤10)이 주어집니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붕어빵의 ..

Today I Learn 2025.01.16

[TIL] IT 5분 잡학사전 마무리

Day 12💡챌린지를 마무리하면서미리 책을 한번 읽고 챌린지에 도전했는데 다시 읽는대도 아직 모르는게 많았습니다. 특히 자료구조에 대해서는 몇번을 봐도 아직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소한 이야기도 좋았습니다 자주 쓰는 익스텐션이나 어려운 개발언어 등의 섹션은 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보통 너무 딱딱한 내용들이 많은데 쉽게 예를 잘 들어주셔서 좋았어요!기억이 안날때마다 읽어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

Today I Learn 2025.01.16

[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2일차 TIL + 오늘의 학습 키워드

🔎 문제 설명 문자열 S를 입력받은 후에, 각 문자를 R번 반복해 새 문자열 P를 만든 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즉, 첫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고, 두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는 식으로 P를 만들면 된다. S에는 QR Code "alphanumeric" 문자만 들어있다.QR Code "alphanumeric" 문자는 0123456789ABCDEFGHIJKLMNOPQRSTUVWXYZ\$%*+-./: 이다. 🔎 제한사항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0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반복 횟수 R(1 ≤ R ≤ 8), 문자열 S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S의 길이는 적어도 1이며, 20글자를 넘지 않는다. ✅ 문제 포인트2번째 인자인 문자열의 각 문자를 1번..

Today I Learn 2025.01.16

[TIL] IT 5분 잡학사전 #39 - #45

Day 11📜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9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아직도 구분하기 힘들다고? ~에피소드 45 멀웨어, 바이러스, 웜 개념 몽땅 정리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인공지능은 좁은 인공지능과 일반 인공지능 이렇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어. 일반 인공지능은 인간의 행동을 대부분 할 수 있거나 인가반보다 능력이 더 뛰어났을 때를 말해. 실제 현실에서 딥러닝이나 머신러닝으로 만드는 인공지능은 대부분 좁은 인공지능이야. 좁은 인공지능은 몇 가지 일만 할 줄 알아. 다만 그것을 탁월하게 잘하는 거지.그런데 머신러닝, 딥러닝은 대체 뭘까? 그건 바로 이런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방식 또는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방식을 말해.왜냐하면 이렇게 설계된 API로 여러분 팀원이 백엔드, 프런트..

Today I Learn 2025.01.16

[TIL] IT 5분 잡학사전 #35 - #38

Day 10📜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5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 ~ 에피소드 38 함수형 프로그램이 뭐죠?💡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먼저 잘못된 방법부터 살펴보면, 비빌번호를 테이터베이스에 그대로 저장하는거야. 이건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아주 좋지 않은 방법이야.해시 함수라는 녀석은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출력값을 가지는 규칙이 있어. 아까 예를 들었던 1234와 !aef3eZ&^의 일대일 대응 관계는 계속 유지된다는 뜻이야.해시 함수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무작위성을 갖고 있는거지. 해시 함수는 반대로 입력하면 원래 값이 나오거나 하지 않아. 한쪽 방향으로만 설계된 함수거든.그런데 해시 함수도 완벽하진 않아! 왜냐면 레인보우 테이블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지. 레인보우 테..

카테고리 없음 2025.01.15

[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2일차 TIL + 오늘의 학습 키워드

⭐그대로 출력하기 2 🔎 문제 설명 입력 받은 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제한사항입력이 주어진다. 입력은 최대 100줄로 이루어져 있고,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공백,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각 줄은 100글자를 넘지 않으며, 빈 줄이 주어질 수도 있고, 각 줄의 앞 뒤에 공백이 있을 수도 있다.✅ 문제 포인트입력받은 그대로 출력한다.✅ 사용 함수 및 알고리즘console.log()✅ 문제 해결 방향성백준에서 Javascript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봐야한다.✅ 문제풀이console.log(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 ✅ 회고할 점 본래라면 훨씬 빨리 풀 수 있는 문제인데 백준이 익숙하지 않아 사용법을 몰라 오래..

Today I Learn 2025.01.14

[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1일차 TIL + 오늘의 학습 키워드

⭐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을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 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 합니다. 🔎 제한사항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answer"pPoooyY"true"Pyy"false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p"의 개수 2개, "y"의 개수 2..

Today I Learn 2025.01.13

[TIL] IT 5분 잡학사전 #30 - #34

Day 8📜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0 코로나가 준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 ~ 에피소드 34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도 있어요?💡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프로그램은 책임 있게 만들어야 한다. '프로그램이 돌아가기만 하면 그만이다.' 라는 생각으로 코드를 대충 짜는 개발자도 있는데, 이 사건을 통해 다시금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아.시스템은 한번 구축하면 끝이 아니야. 개발자라면 코드를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대해야 해. 꾸준히 관리 해야 하지.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되는 선인장도 방치하면 죽는 거랑 똑같아.즉, SQL은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질문 또는 문의를 하기 위해 어떤 구조를 가진 언어라는 것을 알 수 있어.DBMS와 데이터베이스는 세트로 다니니까 편의상 데이터베이스라고 부르는 것뿐이..

카테고리 없음 2025.01.13

[TIL] IT 5분 잡학사전 #26 - #29

Day 7📜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26 정렬 알고리즘이 뭐죠? ~ 에피소드 29 개발자 필수 소양, 클린 코드!💡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사실 버블 정렬(Bubble sort)은 썩 좋은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없어. 실제로 많이 사용하지도 않지.  선택 정렬(selection sort)을 알아보자. 다음 배열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선택 정렬은 전체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 또는 가장 큰 데이터의 위치를 따로 기억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해. 이번에는 삽입 정렬(insertion sort)이야. 포인트는 교환이 아니라 밀어 넣는다는 거야.시간 복잡도가 같다고 한 것은 시간 복잡도를 단순히 측정했을 때 그렇다는 뜻이었어. 하지만 알고리즘은 초기 데이터 상태에 따라 처리 속도가 ..

Today I Learn 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