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3
오늘 읽은 범위 : 2장, 의미있는 이름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일관성이 떨어지는 표기법은 그릇된 정보다. (p.25)
- 읽는 사람이 차이를 알도록 이름을 지어라. (p.27)
- 이름 크기는 범위 크기에 비례해야 한다. (p.28)
- 집중적인 탐구가 필요한 코드가 아니라 대충 훑어봐도 이해할 코드 작성이 목표다. (p.34)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른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클래스나 매서드 변수 이름을 지을 때 아무 생각없이 a, b로 적거나 하는 행동으로 인해 전에 공부했었던 내용들을 다시 봤을 때 기억이 안났던 경험이 많아 더 와 닿는 부분이 있었다.
- 내가 짠 코드인데도 내가 읽지 못하고 해독을 해야하는 코드라면 나쁜 코드이다.
- 주석을 다는 것보다 이름 하나하나를 맥락 있게 지어서 나중에 다시 보더라도 쉽게 읽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jar, .war, .ear 파일은 무엇일까?
- VISITOR 패턴이 무엇일까?
- JOBQueue가 무엇일까?
jar : Java에서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아카이브
war : 자바 서버 페이지, 자바 서블릿, 정적 웹 페이지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이루는 기타 자원을 한데 모아 배포하는데 사용되는 Jar파일
.ear : 하나 이상의 모듈들은 하나의 아카이브로 묶어서 여러 모듈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동시에 일관성 있게 배치될 수있도록 하기 위한 자바 EE에 쓰이는 파일 형식
VISITOR 패턴 : 방문자 패턴(Visitor pattern)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객체의 구조와 그 구조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분리하여 구현하는 패턴
JOBQueue :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스크립트 블럭을 하나의 잡(Job)이라고 하고 이러한 잡들(Jobs)를 적재하는 FIFO큐가 바로 잡큐(JobQueue)

오늘 읽은 다른 사람의 TIL
'Today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클린코드" 6일차 (0) | 2024.06.30 |
---|---|
[TIL] "클린코드" 5일차 (0) | 2024.06.28 |
[TIL] "클린코드" 4일차 (0) | 2024.06.25 |
[TIL] "클린코드" 2일차 (0) | 2024.06.23 |
[TIL] 노개북 인증하기 (0) | 2024.06.21 |